루리웹을 하다가 보면 도리라는 단어가 흔히 쓰이고 이 '도리'라는 것을 요구하는 댓글들이 드물지 않게 보인다..

    Ex) '도리 어디갔음?'

          '님아 제발 도리좀 주세요 ㅠㅠㅠㅠㅠㅠㅠㅠ'

     

    다른 커뮤니티를 오랫동안 하여 이런저런 커뮤니티의 밈과 유행어들에 대해서 빠삭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루리웹을 처음 들어와 익숙하지 않았던 사람들은 이 단어를 처음 볼 가능성이 높다.

    뜻, 유래


    강호의 도리에서 '도리'는 중국 무협지에 나오던 표현인 '강호의 도리는 땅에 떨어졌구나'에서 그 '도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강호의 도리가 땅에 떨어졌다'라는 것은 하나의 상투적 문구로서 사람 간의 지켜야할 의리, 사람다움(도의)가 사라진 세상을 한탄하는 말이다.

     

    이 단어가 사용되는 상황을 살펴보자면, 그림, 만화 등의 원본 출처, 유래에 대해서 쓰여있지 않은 글에 원본이 궁금한 사람이 있다면, '강호의 도리는 땅에 떨어졌는가!'라면서 출처를 알려달라는 댓글이 원본을 찾는 댓글이 워낙 유행을 하자, 이것이 변형되어 '도리'라는 단어가 원본 출처라는 의미로 쓰이게 된 것이다.

     

    대체로 루리웹에서는 야한 것이 올라왔을때, 이것의 출처나 원본을 찾는 경우가 많기 떄문에 강호의 도리를 찾는 상황은 대체로 야한 것의 원본을 찾는다 라고 이해해도 좋을 것이다.

     

    여담으로

    원래 단어는 道義로, 도'리'가 아닌 도'의'이지만 한국 사람들에게 도의란 단어는 너무 어색하기에 도리라는 우리에게 좀 더 친숙한 단어로 바꾸어 사용한다.

     

    커뮤니티에서 강호의 도리를 제일 먼저 언급한 곳은 MLB파크 BULLPAN이다.

    이후 MLB파크나 타 연령층이 높았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행하던 단어가 디시, 루리웹에게까지 흘러간 것이다.

    루리웹에서 자주 사용되는 이유는 음란물 OR 선정적인 덕후 성향 매체들이 흔하게 공유되었기 떄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MLB파크나 다른 커뮤니티에서는 선정적인 글들이라 해봤자 뭐 아이돌 직캠 정도니 그룹 이름정도만 알면 더 알 것이 없어 '도리'를 찾을 필요가 없지만 야한 만화등이 빈번하게 올라오는 루리웹의 경우, 픽시브나 성인만화 등 제목 등 '도리'인 출처를 모르면 찾기 힘들기 떄문이 아닐까?...

     

    사용방법


    강호의 도리를 찾을떄는 대체로

    이렇게 무협 만화 등에서 강호의 도리를 언급하는 사진과 함께 출처를 물어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혹은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논논비요리'라는 애니메이션의 등장인물인 '렌게'라는 캐릭터가 그려진 노트 짤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원본 출처를 누군가 알려주었다면,

    이런 식의 사진을 추가로 올리기도 한다.

     

    또한 닭도리탕, 닭볶음탕에 착안해 도리를 볶음으로 바꾸어 강호의 볶음을 찾는 기출 변형 밈도 존재한다.

    주의사항


    주의해야할 점은 이 밈은 루리웹이 아니면 사용을 최대한 지양해야한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만화 갤러리 , 개드립 등의 다른 커뮤니티에서도 강호의 도리라는 밈을 사용했지만, '강호의 도리'라는 단어를 사용할만한 타이밍이 자주 안 나왔던 것인지 점차 루리웹을 제외하고는 '강호의 도리'라는 밈을 쓰는 빈도가 줄어들더니 이제는 루리웹을 제외하고는 거의 쓰지 않는 밈이 되었다.

     

    그리고 다른 사이트의 루리웹에 대한 인식이 점차 악화됨에 따라 네이버 카페 등 루리웹 유저가 활발히 활동하는 곳이 아니라 루리웹에 비판적인 디시인사이드 등에 이런 '강호의 도리' 밈을 사용하면 바로 루리웹 유저로 낙인찍히며 크게 욕먹기 좋으니, 떄와 장소에 맞는 언행을 하는 습관을 기르자. 애초에 루리웹을 하면서 루리웹을 배척하는 커뮤니티에 굳이 들어가서 활동을 하는 이유도 잘 모르겠지만 말이다.

     

    이렇게 루리웹 이용자들이 '강호의 도리'라는 밈을 쓰는 것이 워낙 유명하다보니 디시인사이드에서는 오히려 루리웹 유저인척 컨셉을 잡고 일부러 '강호의 도리'라는 단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